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박재순
박재순은 1950년 충청남도 논산군 광석면, 강경평야 언저리 작은 마을 말머리에서 태어났고 대전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마쳤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신앙생활을 하게 되어 새벽예배도 열심히 다녔으며, 고등학교 때는 머들령이라는 문학동인회에 가입하여 시를 쓰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베르그송의 생명철학에 매력을 느끼며 공부했다. 문리대의 자유로운 분위기가 좋았고 독재정권의 억압과 최루탄 가스가 싫었다. 대학 졸업 후 민청학련 사건으로 서대문 구치소에서 4개월간 옥고를 치렀고, 1981년 전두환 정권 때 한울공동체 사건으로 다시 2년 6개월 옥고를 치렀다. 두 차례 옥고를 치르면서 책 읽고 공부하며 생각할 시간을 넉넉히 가질 수 있었다.
1974년 가을 한신대학교에 입학하여 자유롭고 실천적인 신학공부를 할 수 있었다. 안병무 교수에게서 성서신학과 민중신학을 배우고, 박봉랑 교수로부터 카를 바르트 신학을 배웠다. 학사·석사학위 논문은 카를 바르트 신학, 박사학위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으로 썼다. 서구 주류 전통 신학자 카를 바르트에게서 복음적인 신학의 깊이를 배우고, 서구 전통 신학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한 본회퍼에게서 신학적인 자유와 영감을 얻었다. 1980년부터 안병무 박사가 세운 한국신학연구소에서 번역실장으로 일하면서 국제성서주석 번역을 하였다. 독일 성서주석서 폰라트의《창세기》, 요아힘 그닐카의《마르코복음》I, II, 독일 여성신학자 도로테 죌레의《사랑과 노동》등 10여 권을 번역했다. 당시 한신대학교에서 해직 상태였던 안병무 박사는 매주 1~2회 연구소 직원들에게 성서와 신학에 관한 강의를 들려주었다. 당대 최고의 지성인이자 신학자였던 안병무 박사를 가까이 모시고 자유롭게 강의를 들을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고 특권이었으며, 연구소 번역실에서 아홉 살 어린 아내를 만나 결혼한 것은 그에게 축복이었다. 박사학위를 마치고 민중신학, 생명신학, 씨알사상 연구에 몰두했다. 대학 4학년 때부터 함석헌 선생님의 강의를 듣기 시작하여 함석헌의 정신과 사상을 연구하게 된 것은 보람이고 사명이었다. 함석헌은 그가 만난 가장 뛰어난 인물이고 위대한 정신이었다. 씨알사상연구회 초대회장(2002~2007)을 지낸 박재순은 2007년 재단법인 씨알을 설립하고 씨알사상연구소장으로서 함석헌과 그의 스승 유영모의 씨알사상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널리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함석헌의 철학과 사상》, 《씨알사상》,《다석 유영모》,《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유영모·함석헌의 철학과 사상》(공저),《모색: 씨알철학과 공공철학의 대화》(공저),《씨알·생명·평화》(공저),《예수운동과 밥상공동체》,《민중신학과 씨알사상》,《한국생명신학의 모색》등이 있다.
1일 무한한 즐거움, 영원한 이김
2일 참으로 고운 것은
3일 생각은 그리움에서 나온다
4일 믿으면 된다
5일 하늘을 사귐[親天]
6일 터져 나가는 우주
7일 사람의 긋
8일 고난 속에서 자유에 이른다
9일 영원한 생명의 씨가 자라면 제소리가 나온다
10일 ‘한’과 초월적 정신
11일 참말 속에는 참뜻이 튀어 오른다
12일 새 인간의 출현
13일 언제나 유유하다
14일 현대가 당하는 비참의 원인, 세계사상의 결핍
15일 모든 문제는 ‘하나’다
16일 새로운 세계이상을 세워야
17일 사람은 하나님의 말숨(말씀의 숨)이 불타는 성화로(聖火爐)이다
18일 하나의 세계를 위한 총동원령
19일 사람의 정신을 살릴 참 말
20일 하나를 믿어야
21일 말씀 살음
22일 상생적 주체의 철학
23일 목숨을 말숨(말씀)으로 바꾸어야
24일 고난 속에 삶의 보화가 있다
25일 우리는 말씀의 집을 지으러 왔다
26일 가는 길이 좁고 험할수록
27일 모름지기: 모름을 꼭 지켜야
28일 역사는 돌면서 나가는 것
29일 사람이 최후까지 가지고 가는 보물
30일 전쟁이냐 새 문명이냐
31일 몸을 닦듯이 말을 닦아야 한다
산을 옮기자 해서 산더러 여기서 일어나 저 바다 속으로 가거라 하고 소리를 지르고 있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요, 내가 나더러 옮겨 가라고 명령을 해야 옳은 일이다. 어디로 옮겨 가란 말인가? 하나님께로다. 믿음이란 하나님과 내가 하나 됨이다. 내가 산 같은 나를 바다같이 무한한 하나님 속에 던져 하나가 돼버리면 산을 마음대로 하는 것쯤은 문제가 아니다. 믿으면 (내가 하나님과 하나 되면) 된다(물건이 나와 하나 된다). 다 됐다. (《함석헌 전집 5: 서풍의 노래》 317쪽)
해설:
하나님이 있다거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모든 것을 초월하고 아우르며, 모든 것의 속의 속에, 깊이의 깊이에 계신다고 믿어지는 이에게 가까이 가면, 그이와 하나로 되면 모든 물건들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또 모든 물건들과 하나로 될 수 있다. 그러면 매임 없이 기쁘고 힘이 난다. 물건과 일에서 자유로우면 나를 맘대로 움직일 수 있고 물건과 하나로 되면 물건과 일을 제대로 이끌 수 있다.
_‘1월 4일―믿으면 된다’에서
**
하나님의 생각과 일치되는 생각이 꽉 차서 절로 나오는 감동이 찬송이 되어야 하고 그 말이 기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참된 생각이 여물어져 하나님과 일치되는 생각을 하게끔 되어야 찬송과 기도가 필요한 것이지 그 밖에는 거짓된 것이라 필요가 없다. 기도와 찬송이 우리가 인사치레하는 것같이 하고 있으니 그것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고 무의미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다석 유영모 어록》 28쪽)
해설:
하나님이 내 속에 계시고 내가 하나님 안에 있어서 하나님을 분명히 느끼고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와 찬송이 참된 기도요 찬송이다. 하나님이 있는지 없는지 확신이 없고 몸과 마음으로 하나님의 존재를 느끼지도 경험하지도 못하는데 참된 기도와 찬송이 나올 리 없다. 기도와 찬송이 그저 자기 자신에게 하는 속삭임이요 다른 사람에게 들으라고 하는 소리라면 기도, 찬송이라고 할 수 없다.
_‘2월 18일―참된 기도와 찬송’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