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9,900원 11,000원
저자 정용성
발행일 2016.9.9
상세정보 무선 / 200page / 140×205(mm) / 318g
ISBN 9788936511784
정용성
1960년 부산 출생. 한때 똘똘한 사람 하나만 있으면 집안을 먹여 살린다 생각하다가, 그게 아님을 깨닫고 스스로 꺾였다. 그런데 꺾인 나무에 가지와 싹이 나서 자라는 장면을 보고 살아갈 희망을 품었다.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읽고 목회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평생의 멘토이신 고 김덕신 목사의 책망과 격려 가운데 신앙과 신학에 입문하고, 프랜시스 셰퍼를 통해 기독교 세계관을 이해하게 되었다. 라이트 밀스의 《사회학적 상상력》을 접하고 사회를 보는 눈을 뜨게 되었다. 슈마허의 《작은 것이 아름답다》를 읽으면서 작은 것에 대한 관심과 목회적 적용을 고민하다가,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에서 리처드 보컴의 인도와 필립 에슬러의 지도를 받으며 신약을 공부했고, “누가-행전에서 성전으로부터 가정교회로”라는 주제로 신약학 철학박사를 2000년에 취득했다. 그 후 신학교 강의와 목회를 하다가 2010년 말에 카페 ‘풍경’에서 풍경이 있는 교회를 개척하였다. 성경공부 중 ‘나사렛’(가지)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의도적 작은 교회로 한국 교회의 목회 생태계를 회복하고자 씨름하며 행복하게 목회하고 있다. 지훈, 지현 두 자녀와 신실한 아내 천애경과 더불어 소박한 가정을 꾸려 가고 있으며, 커피와 글쓰기에 푹 빠져 세월이 가는 것이 이제는 아쉬움을 알게 되었다.
yj60@hotmail.com | www.nazareth.kr
펼치는 글
들어가며 ― 작은 것이 아름답다
1장 나사렛은 어떤 마을인가
2장‘나사렛’의 의미는 무엇인가
3장 성경에 나타난 나사렛 사상
4장 예수의 나사렛 선언
5장 왜 예수는 나사렛에서 사역을 시작했는가
6장 예수 이후의 나사렛
나가며 ― 나사렛 운동을 위한 제언
부록 ― 나사렛 정신을 위한 점검표
참고문헌
대중 앞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첫 발언과 사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누가에게 예수의 나사렛 선언은 하나님 나라 선포이다. 나사렛 선언은 하나님 나라의 시작을 알리는 선언이며, 하나님 나라 복음의 내용이다. 나사렛 예수는 자라나신 곳의 회당에서 하나님 아들로서의 첫 공식 발언으로 이사야서 61장 1-2절을 택하였다. 나사렛 선언은 하나님 아들로서 정체성과 사역을 밝히는 청사진이자 일종의 정강 정책이다. 따라서 나사렛 선언은 누가복음을 읽는 독자에게 앞으로 행하여질 나사렛 예수의 사역을 이 매니페스토에 맞추어서 평가하도록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나사렛 예수가 선포하는 하나님 나라는 이 나사렛 선언의 구체적인 실현을 통해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하나님의 통치를 1세기 유대 백성의 삶에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_86면, 4장 〈예수의 나사렛 선언〉에서
*
예수 당시 유대 분파들의 하나님 나라는 그 방법이나 프로그램은 달랐지만, 하나님 통치를 이 땅에서 이루는 온전한 이스라엘의 회복이었다. 그들의 초점은 당시 제도의 쇄신 또는 변혁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수의 하나님 나라는 달랐다. 제도가 아닌 가치의 변혁이었다. 하나님 나라로 대변되는 예수의 비전은 이스라엘의 전능하신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총체적인 신뢰와 의존이다. 이는 일종의 ‘가치 혁명’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가치 혁명의 신학적 기반은 희년 사상이다(레 25:8-17). 예수의 나사렛 선언은 이 이사야의 희년 사상(58:6; 61:1-3)을 실현하기 위한 선언이다.
왜 희년을 선포하는가? 레위기의 희년은 모든 것을 원래의 위치로 돌려놓는 것이다. 이는 모든 매임과 억압에서의 ‘자유’이다. 자유는 풀어 주는 것이다. 노예가 해방되고, 땅이 원소유주로 돌아오고, 빚이 탕감된다. 그리고 땅을 1년 동안 묵혀 둔다. 희년은 하나님이 절대주권을 가지신 ‘주’임을 인정하는지 질문하는 기간이다. 하나님이 땅의 주인이고, 이스라엘은 단지 거류민일 뿐이며, 하나님이 공급하시는 분이심을 신앙으로 고백하는 기간이다(레 25:23, Sloan 1977). 희년의 선포는 군림하며 억압하고 묶고 매는 모든 힘을 무력화시키고, 묶이고 눌린 자들을 풀어 주는 것이다.
_149-150면, 5장 〈왜 예수는 나사렛에서 사역을 시작했는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