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의 풍경’, ‘불멸의 신성가족’ 저자 김두식 교수 최신간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헌법의 풍경》, 《불멸의 신성가족》으로 법조계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법학자 김두식 교수가
지금껏 기독교인으로 살아오면서 느낀 ‘슬픔’, ‘절망’ 그리고 ‘희망’을 이야기한다.
어머니와 같은 교회를 가슴으로 안고 풀어가는 우리 시대 교회론!
법조계의 이단아, 한국 교회를 말하다!
한국 교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교회 내의 자성의 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그래서인가. 출판물 가운데도 한국 교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책이 왕왕 출간되고 있다. 그중 한완상 교수의 《예수 없는 예수 교회》(2008), 《한국 교회여, 낮은 곳에 서라》(2009, 이상 포이에마), 김진 교수의 《왜 기독교인은 예수를 믿지 않을까?》 등은 한국 교회 안에 ‘예수 없음’을 날 서게 지적하며 독자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이런 움직임 속에 법조계의 이단아로서 《헌법의 풍경》, 《불멸의 신성가족》으로 불평등한 법의 실상과 법조계의 비리를 특유의 필치로 파헤치며 화제를 모은 김두식 교수가 오랫동안 고민해 온 교회 고민을 다룬 책,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홍성사)를 펴냈다.
목사를 구약 시대 ‘제사장’으로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대리자인 양 여기는 한국 교회 현실에서 신학자나 목회자가 아닌 평신도가 교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기에 저자는 이 책을 쓰는 일을 “피할 수만 있으면 피하고 싶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그의 신앙 양심은 한국 교회를 지켜만 보고 있게 하지 않았다. 처음엔 성경답지 못한 교회에 화가 나 글을 써 내려갔지만, 퇴고를 거듭하면서 교회다운 교회, 예수 있는 교회를 “기대하고 기도하며 기다리는” 마음으로 원고를 다듬어 나갔다.
그 때문인지 그의 책은 여느 교회 비판서와 사뭇 다르다. 가슴을 후벼 파는 아픔을 느끼며 읽다 보면, 어느새 성경으로 돌아가 예수의 뜻을 담은 교회, 예수 있는 교회를 만들고 싶은 ‘희망’을 품게 한다. 특히 그간 이사, 임지 변경, 유학 등을 이유로 여러 교회를 다닐 수밖에 없었던 그의 독특한 신앙 경험은 사변적이거나 학자연할 여지를 주지 않는다. 철저히 평신도로서 느낀 교회의 여러 모습을 듣고 있노라면, 지난날 어느 청년의 자취방에 모여 라면 한 대접에 이야기 나누던 그때의 기억이 생생해진다. 그의 이야기는 다른 교회의 이야기가 아니라 곧 우리 교회 이야기, 내가 다니는 교회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한국 교회 현실에서 시작하여 4세기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 16세기 기독교 국가화 된 유럽 교회의 모습, 그리고 역사 속에 나타난 실험적 기독교까지, 인문학적․신학적․문학적․경험적 요소를 총동원하여 ‘교회다운 교회, 예수 있는 교회’를 위한 ‘문제제기’는 물론 ‘공동체적 대안’까지 제시한다는 데 있다. 다행히 그가 제안한 작은 실험들은 몇 명의 동지만 있으면 교회 안에서 충분히 실현 가능한 것들이기에 기대가 된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헌금하면서 봉투에 “○○○ 형제에게 드립니다”라고 쓰면 그 헌금은 회계를 통해 바로 그 형제에게 전달되었습니다. 조별 나눔 모임이나 친구들을 통해 ○○○ 형제에게 요즘 집에서 오는 생활비가 끊겼다더라, 또는 과외가 끊겼다더라 하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 마음이 움직인 사람들이 알아서 ‘지정 헌금’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때로는 지정 헌금을 하기 위해 과외를 한 개 더 하거나 남몰래 새로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지체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 지정 헌금을 받은 사람들은 누가 준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냥 하나님이 주신 걸로 생각하고 감사하게 받았습니다. 그리고 자기도 기회가 되면 또 어려운 형제자매를 위해 지정 헌금을 했습니다. ……이런 실험은 성년들보다는 청년부나 대학부에서 훨씬 손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아내가 다니던 교회는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청년부와 대학부에 신실한 젊은이들이 많이 모여들었고, 교회 지도부는 가급적 청년부와 대학부에 개입하지 않는 걸로 유명했습니다. 20년 전에 젊은이들을 믿고 그런 실험을 허용해 준 교회가 있었다는 게 고맙고 놀라울 뿐입니다. 청년은 좀 실수를 해도 용서받을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젊은이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실험을 하려고 할 때 그걸 지원해 줄 수 있는 교회가 한국 교회의 미래를 책임지게 될 것입니다.
그 밖에도 제가 제안하고 싶은 실험은 많습니다. 성가대를 없애는 대신 모든 성도가 10분쯤 먼저 예배당에 나와 함께 예배 시간에 부를 찬송가를 미리 연습하고 모두가 성가대가 된다든지, 한동네에 사는 젊은 부부 성도들이 공동 육아를 통해 숨 쉴 여유를 갖는다든지, 공동식사 준비를 통해 가사노동의 부담을 줄인다든지……. (324-325쪽)
대체로 교회에 불만을 품게 되면 다른 교회로 옮겼다가 그 교회에서도 상처를 입으면 아예 교회를 떠나는 게 수순이다. 하지만 김 교수의 제안처럼 “교회다운 교회를 상상해 보고, 그런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이야기를 나누고, 그런 이야기가 모여 새로운 실험이 시작되면, 그 실험이 교회의 생명력을 회복시킬” 것이다. 예수께서는 ‘~을 해볼래?’라고 제안하지 않으셨다. 실천을 강조하며 ‘~하라’고 명하셨다. 실천이 따를 때 한국 교회에 희망이 있다.
(김두식 교수는 ‘교회다운 교회’를 만들기 위한 실천으로 ‘높은뜻푸른교회’와 ‘열매나눔재단’을 통해 저소득 빈곤층 이웃들을 돕는 일에 이 책의 인세 전액을 기부하기로 약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