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에 이은,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 신약 두 번째 권!바울의 완숙한 신학, 입체적으로 조명된 그의 내면!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히브리서》에 이은,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 신약 두 번째 권!바울의 완숙한 신학, 입체적으로 조명된 그의 내면!
박영호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를 펴내며
빌립보서(박영호 옮김)
서론
1. 편지의 서문 1:1-2
심층연구—감독들과 집사들
2. 감사와 기도 1:3-11
1. 감사 기도 (1:3-6)
심층연구—코이노니아
2. 사모함의 고백 (1:7-8)
심층연구—바울의 인간론적 표현들
3. 간구의 기도 (1:9-11)
3. 로마에서의 상황을 전함—복음의 진보 1:12-26
1. 바울의 현재 (1:12-18)
복음의 진보—투옥에도 불구하고 (1:12-14) / 바울의 기쁨—시기와 분쟁을 일삼는 이들에도 불구하고 (1:15-18)
심층연구—대적자들의 정체 / 심층연구—잘못된 동기로 복음을 전하는 그들은 구원받는가?
2. 바울이 당면한 미래 (1:19-26)
바울의 목표—삶과 죽음을 초월하는 (1:19-21) / 바울의 고민—삶과 죽음 사이에서 죽음을 선호함 (1:22-23) /
바울의 소망—빌립보 교인들과 재회를 기대 (1:24-26)
심층연구—바울의 종말론 / 심층연구—바울의 스페인 방문 계획과 빌립보서
4. 복음의 시민으로 살라 1:27-2:18
1. 대적에 맞서 같은 생각으로 굳세게 설 것을 권함 (1:27-30)
2. 겸손하게 같은 생각으로 (2:1-4)
3. 그리스도를 본받아 같은 생각으로 (2:5-11)
그리스도 찬가 도입구 (2:5) / 그리스도의 낮추심 (2:5-8) /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높이심 (2:9-11)
심층연구—그리스도 찬가의 신학
4. 바울과 빌립보 교인들의 헌신이 동일함을 역설함 (2:12-18)
5. 디모데와 에바브로디도의 모범 2:19-30
1. 디모데 (2:19-24)
2. 에바브로디도 (2:25-30)
6. 대적자들에 대한 경고 3:1-21
1. 행악자들을 삼가라 (3:1-3)
2. 바울 자신의 모범 (3:4-16)
3. 본받을 자들과 주의해야 할 자들 (3:17-21)
7. 마지막 권면 4:1-9
1. 구체적 이름을 언급한 권면 (4:1-3)
2. 기쁨과 평안에 이르는 길 (4:4-7)
3. 윤리적 탁월성과 평안 (4:8-9)
8. 관계의 회복을 기뻐함—선물에 대한 감사 4:10-20
9. 마지막 인사와 축도 4:21-23
에필로그
참고도서
주
빌립보서가 다른 편지들과 비교해서 두드러지는 점은 수신자 부분이다. 먼저 다른 서신들에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교회(에클레시아)에게”라는 말이 없다. 이는 로마서도 마찬가지인데, 필자는 로마서에 에클레시아라는, 바울의 특징적인 수신자 칭호가 등장하지 않는 이유를 상세히 논한 바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로 에클레시아는 기본적으로 로마제국의 동쪽 그리스 문화권의 정치체제로, 라틴어를 주로 사용하는 서쪽 지역에는 어울리지 않을 뿐 아니라, 제국의 수도인 로마의 어떤 집회에 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정치적 오해를 받을 소지도 있었음을 꼽았다. 로마색이 짙은 식민지인 빌립보 역시 비슷한 상황이었을 수 있다. 그리스 전통이 살아 있는 고린도와 비교하면 빌립보는 에클레시아라는 말에 잘 어울리지 않는 정치체제와 사회 분위기였으리라 추측된다. 이는 바울이 신학적 사고를 풀어가는 방식에서 지역 특성을 신중하게 고려하면서 또한 깊은 정치적 고려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에클레시아라는 말은 쓰지 않았지만 다른 정치적인 단어들, 즉 “우리의 폴리튜마(시민권, 정부)는 하늘에 있는지라”(3:20), “복음에 합당하게 시민 노릇하라(폴리튜에스세)”(1:27)는 말로 대체하고 있는 것 또한 빌립보서에서의 바울의 정치적 고려라는 맥락에서 주목할 만한 점이다.
_‘1. 편지의 서문‘에서
*
참여로서의 코이노니아는 그리스도와 우리가 존재론적 합치를 이룰 정도로 깊이 있는 관계를 맺게 된다는 요한신학의 핵심이기도 하다(요일 1:3). 예수를 믿는 것은 예수를 영접하는 것이다(요 1:12). 그 예수님은 “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요15:4) 하셨다. 예수님은 자신과 아버지 하나님이 하나인 것같이 우리도 하나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하셨다(요 17:22). 이 코이노니아의 완성이 구원이다. 삼위일체의 내적인 관계가 성도와 하나님과의 관계, 성도들 간의 관계의 모범이 되는 것이다. 코이노니아는 그리스 문화전통에 있는 동방교회에서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한다. 본래 강력한 동사적 뉘앙스를 갖고 있던 코이노니아가 라틴어 ‘communitas’(공동체)로 번역되면서 정적인 개념이 되고 본래의 역동성을 잃어버렸다. 이는 서방 교회 전통의 심각한 한계이기도 하다. 서방에서 발전되어 나온 개신교와 현대의 개인주의적 인간관은 성서적 인간관과 구원론의 이해에 큰 장애로 작용하기도 한다. 성경 이해에 최대 장애는 우리가 극단적으로 개인주의적인 인간 이해를 한다는 점이다. 공동체적 구원론은 빌립보서 해석에 중요한데, 예를 들면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2:12) 했을 때, 복수 “너희”는 개개인의 구원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집합적 구원을 말할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한다. 개인주의적 인간관에서는 이런 해석이 존재할 여지가 없다.
_‘심층연구―코이노니아’에서
*
로마의 정치가이자 문필가인 키케로에 의하면 “십자가는 가장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형벌”(Against Verres, 2.5.64)이었다. 이는 국가에 대한 반역 혹은 그에 준하는 중범죄를 처벌하는 수단이었는데, 극악한 범죄를 저지른 이들이라 해도 로마 시민들은 결코 십자가형을 받지 않았다. 십자가형은 노예와 외국인들에게만 해당되었다. 키케로는 십자가형은 “노예에게 가해지는 고문 중에서 극악한 고문”(Verres, 2.5.66)이라고 했다.
자신을 낮추시고 인간들과 같이 되셨고, 종이 되셨고, 죽으셨다는 이 모든 자기 비하의 과정에서 십자가는 최저점을 이루고 있다.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친히 인간이 되셨다는 사실 자체가 엄청난 비하이지만, 그중에서도 십자가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자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스도께서 로마 시민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의도적으로 부각시키는 단어이기도 하다. 이는 본 서의 주제가 “복음에 합당하게 시민 노릇하라”(1:27)이며, 바울이 그리스도인들을 그 시민권이 하늘에 있는 자들(3:20)로 묘사한다는 점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로마 시민의 특권을 갖지 못한 그리스도, 또 그분과 자신들을 동일시하는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자기이해 역시 이 대목에서 정점에 이른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은 십자가로부터 규정된 정체성이다.
_‘4. 복음의 시민으로 살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