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상가 키르케고르,
신앙과 이성의 본질적인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신앙에는 합리적인 요소가 있는가?”
키르케고르는 누구인가
쇠렌 키르케고르(1813. 5. 5.~1855. 11. 11.)는 철학의 주제를 로고스에서 파토스로 바꾸고, ‘신 앞에 선 단독자’라는 유명한 표현에서 알 수 있듯, 이성과 집단 중심의 객관성의 철학을 신앙과 개인의 인격을 강조하는 주체성의 철학으로 바꾼 사상가였다. 무엇보다도 진리의 교리는 있으나 진리의 정열과 경외감이 사라진 당대 기독교 세계에 기독교의 본질을 일깨워 주려 했던 투사였다.
또한 키르케고르는 42세라는 짧은 생애를 살면서 양적으로 방대하며 질적으로 풍성하고 깊이 있는 저술을 남겼는데, 철학자 피터 크리프트(Peter Kreeft)는 자신의 저서 《소크라테스와 키르케고르의 만남(Socrates Meets Kierkegaard)》의 서문에서 2000년 철학사에서 지성과 상상력, 진리와 아름다움, 철학과 시, 객관과 주체를 결합했던 플라톤에 필적할 만한 사상가는 키르케고르 외에는 없다고 평가할 정도였다.
키르케고르 사상의 중심인 《철학의 부스러기》를 분석한다
키르케고르는 20권의 저술과 25권의 일기를 포함하여 45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그의 저술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철학서적, 강화집(기독교 설교집), 일기이다. 일반적으로는 키르케고르의 저술들 가운데 《죽음에 이르는 병》(1849)과 《불안의 개념》(1844)이 잘 알려져 있다. 전자는 ‘절망의 문제’를 다룬 작품이고, 후자는 ‘불안의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다분히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심리학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들이다. 그러나 키르케고르 사상의 중심이 되는 책은 《철학의 부스러기》(1844)와 《철학의 부스러기의 결론적 비학문적 후서》(1846)이다. 이 두 책은 그의 저서 가운데 신앙과 이성의 문제, 영원과 역사의 문제, 신과 인간의 문제, 진리의 주체성, 절대적 역설 등을 다룬 가장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저서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절대적 역설은 이성으로 파악할 수 없고 오직 주체적인 신앙의 비약을 통해 알 수 있는 진리인데, 신이 인간이 되어 영원자가 시간 속에 들어온 성육신의 계시적 사건을 가리킨다. 이런 개념들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키르케고르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신앙의 합리성’은 키르케고르의 주장과 반대되는 것이 아닌가?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신앙과 이성의 본질적인 관계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
《철학의 부스러기》는 한마디로 ‘진리를 알 수 있는가? 진리를 알 수 있다면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은 철학(이성)인가 신앙인가?’라는 물음을 다루고 있다. 본래 신앙과 이성은 인간 사유의 상이한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논쟁적일 수밖에 없다. 이성 중심의 입장에서 철학과 신학을 전개한 칸트, 헤겔, 슐라이어마허 등의 사상에서는 초월의 영역이 닫혀 있거나 막연한 가설로 설정되어 있지만, 키르케고르는 초월, 즉 영원하고 절대적인 신을 ‘오직 신앙’으로 알 수 있다고 답한다. 그렇다면 이 책의 제목인 “신앙의 합리성”은 키르케고르의 주장과 반대되는 것이 아닌가? 대부분의 사람은 키르케고르가 신앙과 이성에 절대적인 차이를 주장했다고 알고 있다. 절대적인 의미에서 보면 맞는 말이다.
하지만 《철학의 부스러기》에서 나타나는 신앙과 이성의 관계에 관한 클리마쿠스(키르케고르의 가명 저자)의 입장을 분석해 보면, 신앙과 이성의 관계의 긴밀함이 자명하게 나타난다는 것이 이 책의 주장이다. 키르케고르가 이성은 초월적인 것의 존재를 긍정하는 과업을 어느 정도까지는 수행한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즉 그의 “이성은 해임되었다(the reason is discharged)”라는 선언은 신앙 안에서 교만한 이성을 폐위하고, 회개함으로 중생한 이성이 신앙을 완성시키는 충직한 신하로 제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성이 신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완성시키는 신의 선물이라고 키르케고르가 주장했음을 이 책을 통해 밝혀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