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람보다 한국을 더 사랑했던 이름 없는 선교사들,
그들을 만나러 블랙마운틴으로 떠나다!
1. 잊혀진 한국 기독교의 역사를 찾아 떠나다
‘한병선의영상만들기’대표로 그동안 기독교NGO들의 홍보영상을 만들어 온 한병선. 그녀는 어느 날, 해방 무렵부터 90년대 초까지 한국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다 은퇴한 미국 선교사들이 노스캐롤라이나주 블랙마운틴이라는 곳에 모여 살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다. 늘 재미있고 의미 있는 영상을 만들길 꿈꾸는 그녀는 한국의 선교사 마지막 세대인 그들을 인터뷰하고 영상을 만들기로 한다.
그녀는 넉 달간 자료 수집을 하면서 그 어디에도 한국 기독교의 역사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것과, 어둠의 땅에 복음을 전해준 그들의 행적을 우리가 너무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래서 이번 여행을 단순히 영상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한국의 기독교 역사를 함께 만들어 왔던 선교사님들의 행적을 기록하고 그들의 헌신을 후대에 전하기 위해 그들과의 만남을 책으로 엮기로 한다.
이제 인터뷰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학문적으로 구축해 줄 수 있는 사람을 물색할 차례. 먼저 오랫동안 한국 기독교 역사를 연구해온 전 국사편찬위원장 이만열 교수,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교회사를 가르치는 배덕만 교수, 그리고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구약을 가르치는 전성민 교수가 이 탐방에 동참하기로 한다. 드디어 촬영 스태프 2명을 포함하여 여섯 사람이 2011년 1월 31일부터 2월 17일까지 5개 도시 17인의 선교사들을 방문하게 되었고, 그때의 생생한 기록들이 이 한 권의 책으로 탄생했다.
2. 이름 없는 3세대 선교사들의 마을, 블랙마운틴
대개 한국에 입국한 시기로 선교사의 세대를 구분하는데, 1900년 전후 입국하신 분들은 1세대, 1920-1930년대 입국하신 분들은 2세대, 1950년 한국전쟁 전후로 입국하신 분들은 3세대 선교사라고 한다. 사실 우리가 익히 들어온 몇몇 유명한 선교사들은 거의 1세대 선교사들이다. 이번 탐방에서 만난 선교사들은 1세대 선교사들의 자녀들로, 해방 무렵 한국에 와 사역하다 귀국한 분들이다. 이들이 살고 있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블랙마운틴은 애팔래치아 산맥 끝자락에 있는 조용한 산골마을이다. 이곳에 남장로회 선교사들의 은퇴 마을이 생긴 연유는 확실치 않다. 이 지역이 남장로교 교단의 본거지이기도 하고, 세계적인 기독교 부흥사 빌리 그레이엄 목사의 부인 고(故) 루스 그레이엄 여사가 고향인 이곳에 은퇴한 선교사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했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다. 한때는 이곳 블랙마운틴에 40여 명의 선교사들이 살았지만 차츰 세상을 떠나 최근에는 20여 명만이 살고 있다.
3. 탐방팀이 찾아간 5개 도시 17인의 선교사
한병선과 5인의 탐방팀은 먼저 로스앤젤레스에 가서
• 40년 동안 대구에서 사역하다 북장로회 은퇴 마을인 웨스트민스터가든에 살고 계신 루이즈 그러브,
• 한국에서 섬 선교를 하다 귀국해 지금은 아주사퍼시픽 대학 교수로 있는 젊은 선교사 대니엘 뉴먼,
• 언더우드의 손자인 존 언더우드의 부인으로 40여 년을 한국에서 사역한 진 언더우드 선교사를 만난다.
• 그리고 텍사스에 가서 클라크 선교사를 만난다. 클라크 선교사는 승동교회를 세운 곽안련 선교사의 손자이자 오산학교 교장과 평양신학교 교장을 역임한 나부열 선교사의 외손자다. 그는 한국 어디서도 구할 수 없는 초기 역사적 자료를 많이 갖고 있다.
• 또 플로리다에 가서 헌틀리 부부를 만난다. 찰스 헌틀리의 부인 마르다 헌틀리 선교사는 한국 초기 선교사에 관한 책《새로운 시작을 위하여》의 저자로, 이들 부부는 광주를 자신의 고향처럼 사랑하며 광주민주화항쟁을 한국인과 함께 겪었다. 영양실조에 걸린 한국인 고아를 입양한 이들 부부에게 선교란‘사람에 관한 작은 관심’이라고 한다.
그 후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블랙마운틴, 이곳에서 9명의 선교사들을 만난다.
• 경주 문화중고등학교 교장으로 사역을 했던 부례문 선교사의 부인으로 대구와 경주를 오가며 난민과 고아들을 위해 사역한 마리엘라,
• 결핵 퇴치에 평생을 바친‘한국 결핵인들의 어머니’로 불리는 로이스 린턴,
• 로이스 린턴의 며느리로‘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사역에 힘을 쏟고 있는 하이디 린턴,
• 대구 동산병원, 연세대학병원에서 사역했던 케니스 스콧,
• 감리교 여자 선교사들의 은퇴촌이 있는 내슈빌에서 만난 세브란스병원 선교사 라이스,
• 광주 기독병원 2대 원장인 우월순 선교사의 아들로 전주 예수병원에서 사역한 윌슨,
• 남편은 목사로 부인은 간호사로 사랑과 섬김의 마음으로 사역했던 보이어 부부,
• 동생이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세상을 뜬 것을 계기로 한국에 와, 오랫동안 한국 역사와 언어를 공부하며 한남대에서 사역한 서머빌 선교사를 만난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린스턴에 가서 평양신학교를 세운 마포삼열 선교사의 아들 찰스 모펫과 그의 부인 아일린 모펫 선교사를 만나 교회를 세우고 아버지 뒤를 이어 장신대에서 학생을 가르친 이야기, 아일린 모펫 선교사의 한국 교회사 자료 수집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다.
이후, 탐방팀은 한국 선교의 진원지를 찾아 나선다.
뉴욕으로 가 언더우드 선교사의 모교와 파송 교회인 유니온장로교 신학교와 라파예트 애비뉴 장로교회, 미 장로교의 자료가 한데 모아 있는 장로회 기록보관소, 감리교 선교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드류 대학교 기록보관소 등을 방문하는 것으로 모든 일정이 끝난다.
이 책에는 많은 선교사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사역 곧, 눈물과 수고와 열매의 자취를 짧은 지면에 일일이 소개하기란 불가능하다. 한국 기독교의 역사의 산 증인이자 가난과 질병에 허덕이던 한국 사회에 작은 밀알이 되어 헌신한 그들에게 우리가 들어야 할 이야기는 무엇일까?
4.‘은퇴하지 않은’은퇴 선교사들
‘젊은 시절, 인생의 황금기를 한국에 바치고 이제 황혼에 접어든 이들은 선교 사역에서 물러난 후 어떻게 살고 있을까?’하는 궁금증에서 출발한 이 여행은 우리의 예상을 뛰어 넘었다. 이들은 사역에서 은퇴하지 않은 것이다. 현장 사역에서는 물러났지만 그들은 여전히 전 세계를 향해 도움의 손길을 펴고 있었다. 말라위에 보낼 이불을 만들기 위해 마리엘라 선교사님은 여전히 재봉틀을 돌리고 있었고, 린턴가의 사람들은‘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이라는 북한 돕기 단체를 만들어 북한에 도움의 손길을 주고 있었다. 그들은 말라위나 북한이 중요한 게 아니라 예전의 한국처럼 자신의 도움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마다하지 않는 것이다. 선교사님들은 수차례 한국을 오가며 한국을 잊지 않고 여전히 한국을 위해 기도하고 있었다.
또한 선교사님들은 우리도 모르는 귀한 한국 기독교 역사의 자료를 디지털 작업을 통하여 보존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아일린 모펫 선교사님은 5000여 명의 선교사 기록들을 정리하고 있는데, 그 일은 20년 동안 계속되고 있었다. 이 자료는 선교사들이 언제, 어디서, 어떤 일을 했는지 알 수 있는 귀한 자료다. 우리도 모르는 우리의 역사가 그들의 손에 의해 정리되고 보존되고 있는 것이다.
조용한 산골마을 블랙마운틴에서 여전히 한국과 전 세계를 향해 선교를 펼치고 있는‘은퇴하지 않은’은퇴 선교사들. 이름 없이 한국에서 사역했던 이들은 지금도 이름 없이 소리 없이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5.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은 미래를 꿈꿀 수 없다
전쟁 직후 갈 곳 없는 고아들을 거두어 먹을 것을 주고 거처할 곳을 마련해준 그들,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병원을 세우고 학교를 세워 교육을 받게 해준 그들, 교회를 개척하고 성경을 가르치며 영적인 양식을 먹여 준 그들, 그들이 땀과 눈물을 흘리며 전한 복음은 지금 한국에서 어떤 열매로 자라고 있을까? 돈과 권력에 정신을 빼앗긴 지금의 한국 기독교는 선교사님들의 그 헌신에 어떤 열매로 보답하고 있는 걸까?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어찌 보면 답은 단순한 데 있을 것이다. 역사를 잊지 않는 것! 그들이 세대를 이어 전해 준 복음을 변질시키지 않고 후대에 잘 전해 주는 것, 처음 복음을 접했던 순전하고 뜨거웠던 그 첫사랑을 잊지 않는 것, 우리의 뿌리인 역사를 잊지 않고 잘 보존하는 것, 사회 곳곳 소외된 공동체를 향해 도움을 손길을 건네는 것, 바로 그것이 아닐까? 우리의 역사를 잊지 않으며 세대를 이어 순전한 복음을 전해 주는 역할, 이것은 조용한 산골마을 블랙마운틴에서 얻은 커다란 울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