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과 소통하는 평신도 C. S. 루이스의 신학
루이스는 자신을 다른 평신도들을 위해 글 쓰는 평신도라고 여겼지만, 그는 흔히 접할 수 있는 평신도 저술가가 아니다. 기독교 진리의 핵심을 어떤 독자도 이해할 수 있게 쓰는 탁월한 능력이 있었다. 이 놀라운 소통의 능력으로 그의 책들은 20세기에 가장 많이 읽히고 인용되는 기독교 변증서로 꼽힌다. 그중 《피고석의 하나님》은 루이스의 변증의 주제를 광범위하게 볼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신학적, 윤리적 질문들로 구성된 48편의 에세이집이다. 살아 있는 기독교의 실제가 어떤 것인지 집약적이고도 실제적으로 보여 준다.
복음을 다양한 이들의 용어로 전달하는 번역가
루이스는 불가지론자로 보낸 세월 동안 하나님이 왜 고통을 허락하시는지, 왜 모든 종교 중에서도 기독교만을 참된 종교라고 주장하는지, 기적은 정말 있는지, 있다면 어떤 목적이 있는지 등과 같은 질문들의 답을 알고 싶어 했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그는 다른 사람들이 묻는 질문들을 먼저 자문해 보았다. 그는 1931년에 회심한 후 신앙에 대한 강연이나 글 요청을 거절한 적이 거의 없었고, 그러다 보니 매우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가가게 되었다. 그는 동료 교수들, 산업 노동자들, 영국 공군 장병들, 대학생들에게 말씀을 전하고 논쟁을 했다.
한편으로는 이런 경험에 힘입어, 전문 신학자들이 기독교를 이해하기 쉽게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없는 이유를 깨닫게 되었다. 다른 업계 사람들의 질문에 대답하기 어렵다면 그것은 아마도 “그 견해를 철저히, 끝까지, ‘완전히 끝장을 볼 때까지’ 생각해 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그는 복음을 사람들이 사용하고 이해하는 언어로 ‘번역하는’ 임무를 자임했다. 번뜩이는 재치와 위트로 가득한 그의 글들은 진정한 기독교를 현대의 산문으로 표현한 뛰어난 모델이다.
기독교에 대한 정직하고 현실적인 질문과 답변
교육 수준과 상관없이, 기독교의 내용을 모르고서는 누구도 기독교가 옳은지 그른지 판단할 수가 없다. 루이스가 글을 쓰기 시작할 당시 기독교가 무엇인지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처럼, 오늘날에도 기독교의 진짜 본질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하나님께 영원히 투항하거나 그분과 영원히 분리될 수밖에 없다고 믿었던 루이스에게 이것은 심각한 문제였다.
아주 다양한 매체에 실렸던 이 에세이들은 다양한 필요를 채우기 위해 루이스가 쓴 글이었고, 다각도에서 기독교를 바라볼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 특히 돋보인다. 신문에 쓴 상당히 대중적인 글부터 기독교 신앙을 더욱 체계적으로 옹호하여 쓴 글까지 그 수준도 다양하다.
또한 월터 후퍼의 말처럼 “모든 글에는 특유의 진지함이 담겨 있다. ‘우울함’은 아니다. 그의 글에는 재치와 상식이 번뜩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진지함’이 있다. 그는 모든 사람 앞에 엄청난 운명의 갈림길이 놓여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 앞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갈림길이 놓여 있다. 루이스의 정직성과 현실성, 통찰력과 확신, 그리고 무엇보다 철저한 기독교 신앙이 잘 드러난 이 에세이들이 실려 있기에, 《피고석의 하나님》은 바로 우리 시대를 위한 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