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교회에 서린 처음 사랑을 더듬어 가는 여정
1. 역사의 숨결을 간직한 우리의 옛 교회를 찾아서
2007년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 기념행사를 통해 우리나라에 백 년 이상 된 교회가 5백여 개나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장석철 집사는 이 교회들이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하는 호기심이 발동해 두루 수소문해 보았지만 옛 모습의 예배당이 남아 있는 교회는 드물었다. 80년 이상의 건축령을 가진 교회 건물이 채 서른 곳도 되지 않았던 것이다. 서둘러 여러 목사님과 관계자에 조언을 구하고 교회사 서적을 뒤적였다. 그리고 1년여에 걸쳐 전국을 돌며 스물 네 곳의 1세대 예배당을 촬영했다. 우리의 처음 믿음을 기록으로 남기는 일, 건축을 전공하고 오랜 기간 사진을 찍어 온 그에게 이 작업은 사명이었다.
교회가 이정표가 되는 고장 강화 교동교회에서 사역하는 구본선 목사에게 기독교 유적은 과거의 흔적 이상이다. 한국 기독교인의 믿음의 역사는 백 년의 신앙과 미래를 든든히 받치는 주춧돌이기에 교회사를 공부해 왔다. 그는 옛 예배당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찾아가 듣고 사료를 살펴 글을 썼다. 교회마다 생겨난 사연이 있었고, 그곳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었다. 낡은 건물이라고 허물어 버렸다면 교회를 설립한 이들의 신앙과 애국계몽운동, 그리고 순교의 길을 택한 믿음의 선배들에 대한 기억도 끊어지고 말았을 것이다.
작지만 오래 되새겨야 할 첫 모습을 간직한 곳, 이름도 빛도 없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켰던 사람들. 《한국 교회 처음 예배당》은 크고 웅장한 것에 열을 올리느라 쉽게 지나쳤던 가치에 주목한 이들로부터 시작되었다.
2. 《한국 교회 처음 예배당》 바로 읽기
백정을 장로 삼은 교회, 일제 강점기 조선 거주 일본인 선교를 위한 교회, 남자도 여자도 설교자를 바라보며 예배할 수 있는 교회……. 세월이 스쳐갈수록 깊어지는 저마다의 사연을 간직한 처음 예배당은 지역에 따라 서울·경기 지역 여섯 개 교회(정동제일교회/ 승동교회/ 강화읍성당/ 온수리성당/ 서도중앙교회/ 수촌교회), 충청 지역 일곱 개 교회(청주제일교회/ 청주수동교회/ 진천교회/ 음성교회/ 부대동교회/ 공주제일교회/ 강경북옥교회), 전라 지역 네 개 교회(두동교회/ 금산교회/ 목포양동교회/ 목포중앙교회), 경상 지역 일곱 개 교회(대구제일교회/ 부산 주교좌성당/ 안동교회와 자천교회/ 척곡교회/ 행곡교회와 용장교회)를 수록해 총 스물네 곳을 소개한다. 초기 부흥의 불꽃이 크게 일었던 평양을 포함한 북한 지역의 교회들을 소개할 수 없는 현실도 씁쓸하지만, 강원과 제주 지역에 남아 있는 옛 예배당이 없다는 점도 매우 안타깝다.
각 예배당의 생생한 모습뿐 아니라 그 내력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소개하고 교회를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인물과 역사적 사건을 곁들여, 마치 교회 앞뜰을 거닐며 설명을 듣는 듯 누구나 어렵지 않게 백 년의 시간을 돌아볼 수 있다. 때때로 근처의 둘러볼 만한 유적지도 소개하고 있으며 주소와 연락처를 부록으로 수록해 이 책을 물꼬 삼아 예배당에 직접 찾아가거나 관련 내용을 찾아봄으로써 각자의 여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했다.
3. 풍파에 요동치 않는 뿌리 깊은 교회들
예배 때마다 수천 명이 모여드는 대형 교회, 박물관이 부럽지 않은 화려하고 웅장한 교회라면 우리나라 기독교를 대표하는 교회로 손꼽을 수 있을까? 세계 어디에도 없는, 오직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교회라야 우리 기독교 유산으로 자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참으로 많은 기독교 유적이 사라지고 말았다. 일제 강점기와 큰 전쟁,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불가피하게 파괴된 것도 많지만, 지켜야 할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분별하지 못한 우리의 무관심 때문에, 문화재로 지정되어 겪을 불편보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안일함 때문에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쉽게 해온 것은 아니냐고 처음 예배당들이 말없이 묻고 있다. 세월의 풍파에도 한 세기를 굳건히 살아 낸 예배당처럼 우리의 처음 믿음은 굳게 뿌리내렸는가. 돌멩이 하나하나 가져다 돌담을 쌓아 올리고 다른 집을 떠받치던 낡은 대들보를 가져다 지어도 예배할 곳이 있어 행복했던 처음 믿음들을 만나는 여정에서 곰곰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