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사에서는 한국고등신학연구원(‘키아츠’, Korea Institute for Advanced Theological Studies)이 기획한 “믿음의 유산” 시리즈로서 목회자와 신학자를 포함한 성직자의 설교를 묶은 “한국 기독교 지도자 강단설교” 가운데 《길선주》 《김익두》 《이성봉》(이상 2008년 1월) 《주기철》(2008년 4월)에 이어 다섯 번째 책인 《김교신》을 내게 되었다.
김교신(金敎臣, 1901~1945)은 한국 교회가 낳은 탁월한 교육자이며 기독교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교단의 중심적인 목회자는 아니지만 그는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왜 기독교여야 하는지, 기독교가 주는 능력의 본질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그것을 제대로 누리면서 한 세상을 두려움 없이 아름답게 살다 갈 수 있는지에 대해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뇌하고 증거하다 간 사람이다. 이 책은 그의 신앙과 삶을 대변하는 중요한 글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그가 주필主筆로 있던 잡지 <성서조선聖書朝鮮>에 실린 것들이다. 각 글의 끝에는 발표된 날짜와 제호를 밝혀 두었다. 원전의 맛을 살리기 위해 본문의 성경 인용은 가급적 그가 사용한 그대로 옮겼으며, 한자나 옛말의 경우 가급적 원문 그대로 남겨두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자를 추가하거나 보충 설명을 덧붙였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우선 기독교에 관해 논한 글들을 ‘참기독교’라는 주제로 모았으며, 다음으로는 김교신의 삶과 신앙의 궤적에 대한 글들을, 끝으로 그가 ‘민족과 신앙’이란 주제를 어떻게 연결하였는지 보여주는 글들을 모았다. 이 책에서 우리는 그의 신앙과 삶의 치열한 고뇌의 진정성과 그가 증거한 복음의 능력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1. ‘참기독교’
이 장에 실린 글들에서 김교신은 한국 기독교가 처한 문제들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하나님 중심의 신앙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 하나님과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을 통해 김교신은 ‘생명 없는 형식의 껍질’과 ‘세속주의’의 양극단에서 방황하는 기독교인들을 향해 “불신자에게 회개를 촉구하기 전에 자신이 먼저 회개해야 한다”고 일침을 가한다. 또 기복신앙에서 비롯한 신기한 술수를 기독교라고 생각하는 것 역시 심각한 오해라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참기독교인이란 허위의 평안 중에 안심하기보다는 불안 속에서 수척해질 수 있는 자이며, 마비된 채로 덧없이 살기보다는 각성 중에 깨어 고민하며 깨어 있는 자여야 한다. 또 늘 역사에 책임을 지고 사는 자이며, 평화와 정의, 자유의 삶을 창조하기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움직이는 자이다. 가장 어두운 시대의 한복판에서도 머리를 들고 전진할 수 있는 자이며, ‘세상에서 망하게 되면 안심하고 망할 수 있는 자’이다.
2. 삶과 신앙
유교의 수신修身과 기독교의 구원의 진리를 비교하며 고뇌하는 정황,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와의 만남, 무교회주의의 본질에 대한 천착 등 김교신의 신앙과 삶의 발자취를 따라가 볼 수 있다. 특히 무교회주의의 본질적, 보편적 정신과 일본적 형식을 준별하고 그것을 조선 기독교인으로서 주체적으로 계승하고자 한 그의 신앙과 사상의 치열한 주체성을 읽어낼 수 있다,
3. 신앙과 민족
이 장에서는 조선의 정신적인 전통을 기독교를 매개로 하여 창조적으로 계승하고자 한 그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성서조선> 창간사’와 ‘<성서조선>의 해解’에는 그의 역사관과 맞물린 신앙관의 핵심이 잘 드러나며, <조선지리소고>에서는 지리학을 공부한 그의 한반도에 대한 자연지리적, 인문지리적 이해와 지정학적 위치를 토대로 짚어낸 우리 민족과 문화의 미래상이 돋보인다. 그는 서구 종교인 기독교를 ‘전통에서의 탈출과 배제를 위한 매개’로서가 아니라 전통을 내재적으로 초극하는 매개로 파악했다. 기독교는 그에게 주체적인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힘이었다. 또 ‘약자의 자존을 보존하시는’ 하나님의 공의와 긍휼하심을 바라며 그것을 역사 속에서 형상화하고 증거하도록 조선의 역사를 변화시켜 가는 창조적 역사 형성의 힘이었다. 하나님은 역사 안에서도 매순간 주어진 상황을 뚫고 새 역사를 창조하시는 하나님, 무소불위의 하나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