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 가나안으로 가는 여정에서
새로운 통일운동을 이끌어 갈 여호수아 세대에 전하는
사람 나눔, 생명 나눔
“남북나누미는 참 독특합네다. 공화국 지원을 해도
육아원이나 탁아소같이 낮은 쪽부터 하디요.”
남북 교류의 좁은 길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발표 이후, 그간 경색되었던 남북 간 정치 환경에 훈풍이 일기 시작했다. 이듬해 당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권호경 목사가 박경서 박사와 북한을 방문했다. 이는 정부의 승인을 받은, 공식적인 첫 민간인 방북이었다. 남북한 교회의 교류 활성화를 협의하기 위해 평양에 갔던 권 목사는 실무자와의 대화에서 진전이 없자, 김일성 주석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남북이 평화통일이 되려면 무엇보다 먼저 남과 북 교회 사이에 나눔과 교류가 이뤄져야 하지 않겠습니까? 서로 귀한 것을 나누고 교류하기 시작할 때, 비로소 마음이 열리고 서로가 하나 되어 통일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자면 먼저 조그련 목사님들이 남한을 방문하고, 그 후 남북 교회 지도자들이 서로 정기적으로 교류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권 목사의 말에 김 주석이 조용히 고개를 끄덕였다. 남북 민간 교류의 물꼬가 트이는 순간이었다.
아쉽게도 북한 교회 지도자의 남한 방문은 무산되었지만, 이를 계기로 교계에는 통일운동의 불이 번져 나갔다. 그리고 1993년, 보수와 진보 할 것 없이 통일에 뜻있는 이들이 모여 ‘통일만큼은 교회가 통일된 마음으로 해야 한다’는 당위로 ‘평화와 통일을 위한 남북나눔운동’이 시작되었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남북나눔은 굶주리다 못해 영양 부족으로 뇌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는 등 육체적·정신적 장애를 안게 되는 아이들, 낡은 집에서 추위와 비바람에 노출된 채 살아가는 농촌 주민 등 실제적인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직접 돕고 찾아가는 사역을 묵묵히 해왔다. 대부분의 사업이 대북 지원이지만, ‘남북나눔’이라는 이름처럼 남과 북이 물자와 마음을 나누는 가운데 단단한 하나가 될 날을 소망하며 걸어온 남북 교류의 좁은 길 20년 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가장 낮은 곳을 섬긴 그분처럼
민족의 화해와 평화통일에 기여하고자 설립한 국내 최초의 대북 지원 민간단체, 한국 기독교 보수와 진보 교단이 통일이라는 하나의 목표 아래 힘과 뜻을 모아 시작한 나눔운동, 정부 차원의 공식 대북 창구가 마련되기도 전에 굶주리는 북녘 동포를 위해 60톤의 쌀을 트럭에 실어 북한 국경 안으로 들여보낸 뚝심, 북한 동포 스스로 자립해 나갈 수 있도록 농촌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마을 공동체를 지원하는 주민 중심의 사업……. 대외적으로 그간의 사업을 자랑하며 더욱 손쉽게 후원금을 모으고 더 화려한 사업을 해나갈 수도 있겠지만 남북나눔은 ‘최소 대답의 원칙’을 지켜 왔다. 정말 감당할 수 있는 일만 북에 약속했고, “오른손이 한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는 말씀대로 언론에 떠벌리는 일도 거의 없다. 그저 주시는 만큼 지원하되,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키려 애썼다. 덕분에 남북나눔은 북측 실무자들의 공고한 신뢰를 토대로 지금까지 꾸준하게 관계를 유지해 올 수 있었다. 또 하나의 절대 원칙 ‘현금 지원 불가’ 역시 일관되게 고수해 왔기에 북측 정부 관계자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도움이 절실한 당사자들이 수혜를 입는 원조를 실현할 수 있었다. 분유나 아스피린을 보낸다고 군사 물품으로 전용할 수 없을 것이며, 겨울에 보내는 감자도 썩기 전에 먹어야 하니 쟁여 두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아직 다 말할 수 없지만
고사하려 했으나 안기부 협박 전화를 받고 오기로 남북나눔 일을 시작해 지금까지 나눔운동 최일선을 지켜 온 홍정길 목사부터 거의 모든 실무에 참여해 온 남북나눔의 산증인 신명철 본부장까지 7인의 남북나눔 인사가 들려주는 20년 남북나눔사史는 사업의 기록이 아니라, 사람을 나누고 생명을 나눠 온 발자취다. 실향민인 신 본부장이 남북 교류를 위해 개성에 방문했다가 어릴 적 뛰어놀던 고향 마을을 마주했을 때의 감격, 황장엽 비서가 망명하기 직전 영문도 모르고 만남을 가졌던 일, 김일성 주석과 마주 섰을 때 권호경 목사의 감회 등 생생한 에피소드는 읽는 재미를 더한다. 그러나 정부보다 앞서 북과의 민간 교류를 자력으로 해온 남북나눔의 20년은 단순히 한 단체만의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북을 이해하고 남북 관계를 모색해 나가며 통일을 준비해 나가는 데 참고해야 할 필수 자료라 할 수 있다. 뒤따라 통일운동에 참여할 이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는 장이 될 것이 분명하지만, 한편 통일이 되기 전까지는 밝힐 수 없는 이야기들도 여전히 남아 있다. 두 번째 《화해와 평화의 좁은 길》을 펴낼 통일 한국의 날을 기대하며 남북나눔이 다음 발걸음을 재촉하는 까닭이다.